칸트 탄생 300주년 기념 인터뷰 <Sonntagsblatt*> 2024년 1월 2일 (*독일의 주간지)
질문자: Uwe Gepp (신학자, Sonntagsblatt 편집장)
대담자: Marcus Willaschek 교수 (마르쿠스 빌라셰크,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철학과 교수)
문: 그가 태어난 지 300년이 지났는데도 왜 칸트는 여전히 중요합니까?
답: 칸트는 근대의 가장 중요한 철학자입니다. 그 중요성은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첫째, 칸트는 계몽주의 철학자, 즉 자유와 비판적 공론장, 민주주의와 법치국가를 옹호하는 계몽주의자이며, 무비판적 생각으로부터 자신을 해방시킬 것을 촉구하는 계몽주의자입니다.
둘째, 칸트는 중요한 윤리학자입니다. 오늘날에도 많은 사람이 칸트의 그 유명한 정언명령을 자신의 도덕적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셋째, 칸트는 중요한 인식 이론가입니다. 세계는 우리가 인식하는 모습 그대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우리가 세계를 구조화하는 것입니다. 우리의 적극적 인식 행위를 통해서 말이죠. [가령] 공간과 시간은 우리 인간이 가지고 있는 인식의 형식일 뿐입니다. 이러한 칸트의 놀라운 생각은 칸트 시대엔 매우 혁명적인 것이었고 사람들을 충격에 빠트렸습니다.
문: 오늘날 우리는 복합적 위기의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또 지금은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이 증가하는 시대이기도 합니다. 과연 우리 시대는 칸트로부터 무엇을 배울 수 있겠습니까?
답: 칸트가 현재의 정치적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당연하겠지요. 칸트는 민주주의를 위해서 중요한 것은 교양(敎養, Bildung)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계몽된 교양 시민만이, 칸트식으로 말하면 성숙한 시민만이 현재와 같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길을 잃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점을 칸트는 우리에게 가르쳐주고 있습니다.
계몽의 가치들은 우리가 우리 자신을 자유롭고 합리적인 존재로 이해하도록 만드는 핵심입니다. 명확하고 깊은 사유는 그 사실을 우리에게 보여줍니다. 반면에 피상적인 사유는 우리를 가령 ‘독재자 아래서 사는 것이 더 좋을지도 모르겠다’라는 생각으로 끌고 갈 수 있습니다.
문: 칸트는 진보에 대한 확고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믿음을 오늘날에도 유지할 수 있을까요?
답: 칸트가 믿은 것은 진보의 불가피성이 아니라 진보의 가능성이었습니다. 진보는 우리가 하기 나름이기 때문입니다. 칸트는 ‘진보는 우리 각자에게 달려있으며 우리는 물러서지 말아야 한다’라고 말합니다. 칸트에게 이것은 도덕적 명령입니다.
문: 정언명령이라는 말씀이시지요.
답: 그렇습니다. 우리는 모든 사람에게 타당성을 가질 수 있는 규칙에 따라 행동해야 합니다. “나는 관여하지 않을 테니, 다른 사람들이 하도록 내버려 두세요.” – 이런 것은 보편적 규칙이 될 수 없습니다. 그 점을 우리는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문: 정언명령은 우리에게 기후 변화에 대한 대응을 도덕적-윤리적 의무로 부여하는지요? 많은 사람이 ‘글로벌한 문제의 경우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거의 없다’라고 말합니다만.
답: 칸트에 따르면 이렇습니다. 우리는 ‘휴가 갈 때 비행기를 타지 않으면 나는 기후를 구하게 되는 것인가?’라고 물어서는 안 됩니다. 우리는 ‘모든 사람이 그렇게 하는 것은 합리적인가?’라고 물어야 합니다. 그리고 만일 그것이 합리적이라면 나 또한 그렇게 해야만 합니다. 그런 점에서 칸트 철학은 우리에게 하나의 지침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미래 세대에 대한 책임을 떠맡아야만 하는, 그런 세계에서 살고 있는 우리에게 말입니다. 정언명령은 ‘다른 사람들의 존엄성을 보호해야 하며 그들을 한갓 수단으로서만이 아니라 목적으로 대우해야 한다’라는 것을 요구하니까요.
우리에게 이익을 가져다주는 여러 형태의 착취(搾取) 경제도 분명한 사례입니다. 가령 값싼 티셔츠와 가전제품의 원재료들은 지구 반대편에 있는 사람들이 매우 열악한 상황에서 획득하고 가공하는 것들이기 때문입니다.
착취 경제에서 벗어나는 것은 개인에게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하지만 그를 위한 첫걸음은 바로 그것의 부정의함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 역시 정언명령에서 귀결됩니다.
문: 칸트가 없었다면 우리는 무엇을 갖지 못했을까요?
답: 우리의 기본법 안에 있는 인간 존엄성의 개념이겠지요. 독일 연방 공화국에서 살고 있는 우리에게 표준적 모범이 되어 있는 성숙한 시민이란 개념도 그렇구요. 아마도 유엔 역시 현재와는 다른 모습으로 존재했을 것입니다.
편집자: 칸트는 책과 논문을 쓴 것 말고는 아무것도 한 것이 없다. 그는 정치가가 아니었으며 무엇을 발명하거나 생명을 구하는 약을 만들지도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존재는, 순수한 사유 안에 머물렀던 그의 존재는 우리의 세계에 각인(刻印)되어 있다. 오늘날까지도 말이다. 참으로 놀라운 일이다.
원문 출처 www.sonntagsblatt.de
번역 이충진 (한성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