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히의 죽음을 추모하며

Dieter Henrich (1927~2022.12.17)

칸트와 피히테, 쉘링, 헤겔 등의 철학이 다룬 다양한 주제들을 새롭게 해석하여 현대화하고, 현시점에서 갖는 의미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온 사상가.

철학은 연구와 만날 때 가장 생산적이 된다. 칼 마르크스, 에드먼드 후설, 지그문트 프로이트, 위르겐 하버마스 등은 바로 그와 같은 ‘연구하는 철학 정신der forschende philosophische Geist’의 사례들이다. 디터 헨리히Dieter Henrich 역시 그 중 하나이다.

헨리히는 1927년 마부르크에서 태어났다. 교수자격논문의 주제는 칸트의 실천철학이었다. 이후 피히테, 헤겔, 횔더린으로 이어지는 연구의 중심에는 항상 자기의식의 문제가 놓여 있었다. 그의 평생의 연구주제는 ‘주체성Subjektivität’이었다. 자아는 자신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그는 하이데거학파와 분석철학에서 벗어나 1800년 전후의 철학적 논의에 집중했다.

베를린 대학, 하이델베르크 대학, 뮌헨 대학에서 교수로 있으면서 헨리히는 고전 텍스트 연구의 표준Standard을 만들었으며, 그럼으로써 모든 세대의 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미국의 여러 대학에 머물면서 독일관념론철학을 강의하기도 했다.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에서 헤겔의 『법철학』까지의 40년을 사람들은 ‘정신의 기적의 시기Wunderjahre des Geistes’라고 말하는데, 그 시기는 헨리히에게도 결정적이었다. 미학, 윤리학, 해석학 등 모든 분야에서 그는 그 시기의 텍스트를 참으로 다채롭게 활용했다. 그뿐만이 아니다. 그는 횔더린을 철학자로 자리매김한 최초의 사람이었으며, 그의 저서 『회상 Andenken』은 최고의 문헌학적 작품이기도 했다. 노년기의 헨리히는 철학 작품들의 생성 과정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는데, 그것은 ‘사유 결과물에 대한 추가적 사유Nachdenken von Gedanken’라고 부를 만한 것이었다.

헨리히의 작품에는 수많은 노력과 긴장이 묻어 있지만, 인간 헨리히에게서는 그 흔적조차 보이지 않는다. 그는 자신에 대해서 말하는 것을 꺼려하는 사람이었다. 많은 것을 말하는 자아, 그런 자아가 직면하게 될 위험을 그는 알고 있는 듯했다.

자아는 사물이 아니라 수수께끼이다. 그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할 것들은 수없이 많을 터이다. 그것들의 윤곽을 우리에게 보여주었던 철학자가 2022년 12월 17일 뮌헨에서 죽음을 맞이했다. 향년 95세였다.

Jürgen Kaube의 추모사 <Schachmeister des Denkens>를 이충진(한성대)선생님께서 ‘대폭’ 축약해서 번역해주셨습니다.

참조: FAZ von 18.12.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