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데미소요 : 예술의 사유Ⅲ

한국 근현대 미술의 이해 (강사 정영목)

19세기 말, 한국은 타의에 의해 나라의 문을 열었고, 20세기 들어서는 장기간의 식민 지배와 분단, 전쟁을 겪어야 했다. 이런 격변 속에 한국의 현대적 미술을 개척하고 한국적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노력이 이어졌다. 이 강의를 통해 역사적인 기억과 사회적 발전의 방향에 대한 고민 속에서, 한국 현대미술이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 사유하려 노력했는지 살펴본다.


강사소개

강사 정영목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에서 미술사학을 전공하고 일리노이대학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교수, 서울대학교 미술관장, 서울대학교 조형연구소 소장, 서양미술사학회, 한국미술이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운영심의회 위원, (사)장욱진미술문화재단과 (사)유영국미술문화재단 이사 등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로 『현대 서양미술사, 1870-1945』, 『장욱진 Catalogue Raisonne: 유화』, 『시선의 정치: 서용선의 작품세계』, 『조선을 찾은 서양의 세 여인』, 『Postmodern Art in Korea』 등이 있다.


강의일정

8월 3일 근대의 여명과 일제강점기

근대화와 개혁을 향한 열망은 일본의 식민 지배를 겪으며 좌절된다. 개항 이래 한국미술은 처음에는 서구 예술가들을 통해, 나중에는 일본의 제도와 교육을 거치면서 방향을 모색한다.

8월 10일 해방을 맞은 한국미술

1945년 해방을 맞은 한국에서 미술은 한국전쟁과 분단, 4.19와 5.16과 같은 격변 속에 표류한다. 이런 와중에 여러 단체가 난립하며 한국적 정체성을 찾기 위한 노력이 계속된다. 한편 북한에서는 남한과는 다른 창작 원리를 근거로 독자적인 미술이 전개된다.

8월 17일 추상주의와 한국의 단색화

한국의 6-70년대 본격적인 추상미술 실험의 실제와 한계를 논의한다. 특히 프랑스 앵포르멜과 미국의 추상표현주의가 한국에 끼친 영향과 한국 앵포르멜 고유의 추상적 서사를 이해한다. 서구의 미니멀리즘과 한국의 모노크롬 사이의 유사성과 차별성을 검토하고, 한국적 단색화의 등장과 유행, 수용과 해석에 관한 맥락적이고 담론적인 과정을 비판적으로 이해한다.

8월 24일 추상미술 바깥의 한국미술

추상미술과 대척점에서 민중미술이 등장했고, 이들 사조는 정치적, 사회적 변화에 대한 목소리와 궤도를 함께 했다. 또 미디어아트를 비롯하여 기존 미술계의 경계를 넘어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신진 예술가들이 한국 현대미술의 모습을 풍성하게 만들어 왔다.

8월 31일 88올릭픽과 포스트모던

* 본 강의는 서울시평생교육진흥원의 [우리동네 책방배움터] 사업의 지원을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