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데미소요 : 무의식의 사유Ⅵ

<무의식의 사유Ⅵ> 클라인 정신분석: 병리적 조직화

일시 :  1월 9, 23일, 2월 6, 20일(목) 19:30~21:00
장소 :  철학서점 소요서가 / zoom
진행 :  홍준기 정신분석학자
등록  :  아래 신청하기 버튼
참가비 : 1회 3만원, 4회 10만원

강의료는 1회 3만원, 4회 10만원으로 개별신청이 가능합니다.
대면/비대면 동시 진행하며,
한 달 동안 반복 시청 가능한 녹화 영상(줌링크)를 보내드립니다.

강의소개

멜라니 클라인의 제자들은 망상분열적 위치와 우울적 위치 등 그녀의 개본 개념을 거의 변화시키지 않았다. 그러나 정신병, 나르시시즘, 경계성 상태, 중독, 성도착증 및 성도착적 성격 구조 등과 관련해 다양한 병리적 현상과 그 방어체계들에 대한 탐구를 진행했다. 이 강좌에서는 ‘병리적 조직화’라는 개념으로 요약될 수 있는 그들의 이러한 이론적, 임상적 탐구를 살펴봄으로써 클라인 및 (포스트) 클라인 학파의 정신분석에 대한 공부를 심화할 것이다.

강사소개

홍준기

서울대 법과대학, 총신대 신학대학원 졸업 후 독일 브레멘 대학교와 파리 10대학교에서 라캉, 프로이트, 현대철학을 전공한 후 브레멘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시립대 교수로 일했고, 서울대, 홍익대 대학원, 차의과대학교 임상미술치료학과 대학원 등에서 강의했다.

저서로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남자의 성, 여자의 성』, 『라캉, 클라인, 자아심리학』, 『라깡의 재탄생』(책임편집, 공저), 『라캉과 현대철학』, 『피케티의 21세기 자본과 사회적 국가』 등이 있고, 역서로는 『강박증: 의무의 감옥』(드니즈 라쇼 지음), 『여자는 무엇을 원하는가: 히스테리, 여자 동성애, 여성성』(앙드레 세르쥬 지음) 『현대적 관점의 클라인 정신분석』(브론스타인 편집), 『정신분석 테크닉 강의』(클라인 지음) 외 다수가 있다.

강의일정


▶ 1강
1월 9일(목) 19:30~21:30
경계성 장애에서의 분열적 현상

▶ 2강
1월 23일(목) 19:30~21:30
삶충동과 죽음충동에 관한 정신분석적 이론 및 임상
: 나르시시즘의 공격적 측면에 대한 연구

▶ 3강
2월 6일(목) 19:30~21:30
방어적 조직화에 대한 임상적 연구

▶ 4강
2월 20일(목) 19:30~21:30
병리적 조직화와 망상분열적 위치, 그리고 우울적 위치 간의 상호작용

아카데미소요 ‘불교철학 시즌1.’ 11월

불교철학으로 들어가는 네 개의 입구+사찰체험

강의소개

인도에서 발원한 ‘불교’라는 세계를 이해하는 관점은 지난 2500년 동안 세계 각지의 지식인들에 의해 심화되고 다변화되어 왔다. 불교철학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그 시선의 급진성이나 일견 모순되어 보이기까지 하는 다양성에 당혹감을 느끼기도 한다. 본 강의에서는 ‘불교철학’이라는 이름 속에 내재된 서로 다른 경향의 사유들을 모두 인정하고, 불교철학을 처음 접하는 이들에게 체계적인 방식으로 소개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9월부터 매달 한 가지 주제를 선정해 유서깊은 불교의 지적 전통을 4개월 동안 공부할 예정이다.

 ‘불교철학 시즌1.’ 10월

불교철학으로 들어가는 네 개의 입구+사찰체험

강의소개

인도에서 발원한 ‘불교’라는 세계를 이해하는 관점은 지난 2500년 동안 세계 각지의 지식인들에 의해 심화되고 다변화되어 왔다. 불교철학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그 시선의 급진성이나 일견 모순되어 보이기까지 하는 다양성에 당혹감을 느끼기도 한다. 본 강의에서는 ‘불교철학’이라는 이름 속에 내재된 서로 다른 경향의 사유들을 모두 인정하고, 불교철학을 처음 접하는 이들에게 체계적인 방식으로 소개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9월부터 매달 한 가지 주제를 선정해 유서깊은 불교의 지적 전통을 4개월 동안 공부할 예정이다.

11월 강의

비어있음의 세계관: 대상화하지 않는 시선을 찾아서

일시 : 11월 5, 12일(화), 19:30~21:30
장소 : 철학서점 소요서가
진행 : 함형석 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등록 : 하단 신청하기 버튼
참가비 : 월 5만원

★ 대면/비대면 동시 진행
★ 회당 개별 신청은 불가합니다.
★ 한 달간 강의영상을 보실 수 있는 Z00M링크를 보내드립니다.
★ 대면 참석은 좌석이 제한되므로, 대기자를 위해 불참시 미리 알려주세요.
★ 취소/환불 신청은 강의 시작 전까지 가능하며, 결제하신 강의가 시작한 이후로는 취소/환불이 불가합니다.

강의개요
불교철학을 대표하는 ‘비어있음’(空)을 중심으로 사유를 발전시킨 중관학파(Madhyamaka)의 기본적인 사고방식을 이해한다. 대승불교가 어떻게 초기불교의 사상을 전복시켜 모든 존재의 정체성 결핍을 지적하는 데까지 나아갔는지 중관학파의 기틀을 놓은 나가르주나(龍樹, Nāgārjuna)의 글을 통해 살펴본다.

강사소개
전남대학교 철학과에서 인도철학과 인도불교철학을 강의한다. 미시간 대학교에서 6세기 중관학파의 논사인 바비베까(淸辯, Bhāviveka)의 바라문 비판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불교와 힌두교 학파들 간의 논쟁을 중심으로 인도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전체 일정

9월 10, 24일(화) 19:30~21:30
불교의 출발점에서 묻는 불교
강사: 강성용,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남아시아센터장

10월 8, 22일(화) 19:30~21:30
유식 불교의 이해: 마음은 어떻게 세계를 만드는가
강사: 한자경,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교수

11월 5, 12일(화) 19:30~21:30
비어있음의 세계관: 대상화하지 않는 시선을 찾아서
강사: 함형석, 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12월 10일, 17일(화) 19:30~21:30
불교의 논리학-인식론 전통: 믿음에서 지식으로, 깨달음에서 논증으로
강사: 손영산, 서울대학교 철학과 강사

11월 사찰 체험 프로그램

일시: 11/23 (토) 10:30~13:30
장소: 길상사 (서울 성북구 선잠로5길 68)
일정: 사찰안내 / 다담 /점심공양
참가비: 3만원

<길상사의 청규를 준수해주시기 바랍니다>

청규

  1. 휴대전화 및 전자기기를 사용하지 않겠습니다.
  2. 정해진 시간을 지키겠습니다
  3. 음주와 흡연을 금하며, 간식을 하지 않겠습니다.
  4. 수업 진행에 대해 강사님의 지시를 따르겠습니다.
  5. 개인행동을 하지 않겠습니다.

준비물
편한 옷차림. 양말 필수!
(단, 요가복/레깅스 및 가슴이 깊이 파인 티셔츠 등은 불가합니다.)
개인용 텀블러(필요하신 분만)

https://www.gilsangsa.or.kr

[특강] 한국 근현대 미술의 이해

K-콘텐츠 학술문화축제 특강

일시 : 2024.10.24. 목, 19:30~21:30
장소 : 철학서점 소요서가 / ZOOM
진행 : 정영목 서울대 미술대학 명예교수
등록 : 아래 신청하기 버튼
참가비 : 2만원

대면/비대면 동시 진행 

★ 한 달간 강의영상을 보실 수 있는 Z00M링크를 보내드립니다.
★ 대면 참석은 좌석이 제한되니,  불참하실 경우 대기자를 위해 미리 알려주세요.
★ 취소/환불 신청은 강의 시작 전까지 가능하며, 결제하신 강의가 시작한 이후로는 취소/환불이 불가합니다.

강연소개
19세기 말, 한국은 타의에 의해 나라의 문을 열었고, 20세기 들어서는 장기간의 식민 지배와 분단, 전쟁을 겪어야 했다. 이런 격변 속에 한국의 현대적 미술을 개척하고 한국적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노력이 이어졌다. 이 강의를 통해 역사적인 기억과 사회적 발전의 방향에 대한 고민 속에서, 한국 현대미술이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 사유하려 노력했는지 살펴본다.

강사 소개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에서 미술사학을 전공하고 일리노이대학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교수, 서울대학교 미술관장, 서울대학교 조형연구소 소장, 서양미술사학회, 한국미술이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는 《화가 김병기, 현대회화의 달인》, 《시선의 정치: 서용선의 작품세계》, 《Postmodern Art in Korea》, 《장욱진 Catalogue Raisonné: 유화》, 《조선을 찾은 서양의 세 여인》 등이 있으며, 2023년 12월 《단순한 그림, 단순한 사람, 장욱진》을 도서출판 소요서가에서 출간했다.

아카데미소요 ‘불교철학 시즌1.’ 10월

불교철학으로 들어가는 네 개의 입구+사찰체험

강의소개

인도에서 발원한 ‘불교’라는 세계를 이해하는 관점은 지난 2500년 동안 세계 각지의 지식인들에 의해 심화되고 다변화되어 왔다. 불교철학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그 시선의 급진성이나 일견 모순되어 보이기까지 하는 다양성에 당혹감을 느끼기도 한다. 본 강의에서는 ‘불교철학’이라는 이름 속에 내재된 서로 다른 경향의 사유들을 모두 인정하고, 불교철학을 처음 접하는 이들에게 체계적인 방식으로 소개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9월부터 매달 한 가지 주제를 선정해 유서깊은 불교의 지적 전통을 4개월 동안 공부할 예정이다.

10월 강의

유식 불교의 이해: 마음은 어떻게 세계를 만드는가

일시 : 10월 8, 22일(화), 19:30~21:30
장소 : 철학서점 소요서가
진행 : 한자경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교수
등록 : 하단 신청하기 버튼
참가비 : 월 5만원

★ 대면/비대면 동시 진행
★ 회당 개별 신청은 불가합니다.
★ 한 달간 강의영상을 보실 수 있는 Z00M링크를 보내드립니다.
★ 대면 참석은 좌석이 제한되므로, 대기자를 위해 불참시 미리 알려주세요.
★ 취소/환불 신청은 강의 시작 전까지 가능하며, 결제하신 강의가 시작한 이후로는 취소/환불이 불가합니다.

강의개요
‘유식(唯識)’은 ‘유식무경(唯識無境)’의 줄임말로서, ‘오로지 식(識)만 있고 식을 떠난 대상세계인 경(境)이 따로 있지 않다’는 것이다. 경은 식에 의거해서만 존재한다는 뜻으로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와 같은 말이다. 본 강의에서는 어떤 의미에서 ‘유식무경’ 내지 ‘일체유심조’가 성립하는지를 《마음은 어떻게 세계를 만드는가》(김영사, 2021)를 중심으로 알아보도록 한다.

강사소개
이화여대 철학과 학부 및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에서 칸트철학을 공부하고, 그후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에서 유식불교를 공부하였다. 계명대학교 철학과를 거쳐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에 근무하고 있다. 불교 관련 저서로는 《유식무경》, 《불교철학의 전개》, 《불교의 무아론》, 《대승기신론 강해》, 《능엄경 강해》 등이 있다.

전체 일정

9월 10, 24일(화) 19:30~21:30
불교의 출발점에서 묻는 불교
강사: 강성용,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남아시아센터장

10월 8, 22일(화) 19:30~21:30
유식 불교의 이해: 마음은 어떻게 세계를 만드는가
강사: 한자경,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교수

11월 5, 12일(화) 19:30~21:30
비어있음의 세계관: 대상화하지 않는 시선을 찾아서
강사: 함형석, 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12월 10일, 17일(화) 19:30~21:30
불교의 논리학-인식론 전통: 믿음에서 지식으로, 깨달음에서 논증으로
강사: 손영산, 서울대학교 철학과 강사

10월 사찰 체험 프로그램

일시: 10/26(토) 10:30~13:30
장소: 진관사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길 73)
일정: 사찰안내 / 행복다담 /점심공양

<진관사의 청규를 준수해주시기 바랍니다>

★ 참가 당일 취소 시 환불 불가
★ 편안한 옷과 양말, 운동화를 착용해주시고 마실 물은 각자 준비해주세요.

  • 스님을 보면 합장, 반배로 인사합니다.
  • 사찰 내에서는 금주, 금연입니다.
  • 사찰 내에서는 불필요한 말들을 삼가합니다.(묵언권장)
  • 사찰 내에서 다니실 경우 기본 자세는 차수입니다.
  • 공양시 먹을 만큼 덜어 드신 후 빈 그릇은 본인이 닦고, ‘감사합니다’라고 마무리합니다.
  • 수행식으로 몸도, 마음도 행복하게 하기 위해 외부 음식물 반입은 삼가해주십시오.

  • ★ 귀중품은 가능하면 가져오시지 마시고, 락커실에 보관하세요.

http://www.jinkwansa.org

아카데미소요 ‘불교철학 시즌1.’

불교철학으로 들어가는 네 개의 입구+사찰체험

강의소개

인도에서 발원한 ‘불교’라는 세계를 이해하는 관점은 지난 2500년 동안 세계 각지의 지식인들에 의해 심화되고 다변화되어 왔다. 불교철학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그 시선의 급진성이나 일견 모순되어 보이기까지 하는 다양성에 당혹감을 느끼기도 한다. 본 강의에서는 ‘불교철학’이라는 이름 속에 내재된 서로 다른 경향의 사유들을 모두 인정하고, 불교철학을 처음 접하는 이들에게 체계적인 방식으로 소개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9월부터 매달 한 가지 주제를 선정해 유서깊은 불교의 지적 전통을 4개월 동안 공부할 예정이다.

9월 강의

불교의 출발점에서 묻는 불교

일시 : 9월 10, 24일(화), 19:30~21:30
장소 : 철학서점 소요서가
진행 : 강성용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남아시아센터장
등록 : 하단 신청하기 버튼
참가비 : 월 5만원

★ 대면/비대면 동시 진행
★ 회당 개별 신청은 불가합니다.
★ 한 달간 강의영상을 보실 수 있는 Z00M링크를 보내드립니다.
★ 대면 참석은 좌석이 제한되므로, 대기자를 위해 불참시 미리 알려주세요.
★ 취소/환불 신청은 강의 시작 전까지 가능하며, 결제하신 강의가 시작한 이후로는 취소/환불이 불가합니다.

강의개요
‘불교’라는 종교가 시작되는 출발점에서 붇다의 고민과, 붇다가 해답을 묻고 이해하는 길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당시의 사회, 문화, 종교적 지형 안에서 붇다의 대답이 어떤 설득력을 가졌고 이것이 후대의 ‘불교’를 어떻게 규정해 왔는지 살펴볼 것이다.

강사소개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함부르크대학교에서 석사(인도학, 철학, 티벳학 전공) 및 박사(고전 인도학 전공) 학위를 취득했다. 오스트리아 비엔나대학교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일한 후,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부교수이자 아시아연구소 남아시아센터장을 역임 중이다.

전체 일정

9월 10, 24일(화) 19:30~21:30
불교의 출발점에서 묻는 불교
강사: 강성용,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남아시아센터장

10월 8, 22일(화) 19:30~21:30
유식 불교의 이해: 마음은 어떻게 세계를 만드는가
강사: 한자경,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교수

11월 5, 12일(화) 19:30~21:30
비어있음의 세계관: 대상화하지 않는 시선을 찾아서
강사: 함형석, 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12월 10일, 17일(화) 19:30~21:30
불교의 논리학-인식론 전통: 믿음에서 지식으로, 깨달음에서 논증으로
강사: 손영산, 서울대학교 철학과 강사

사찰 체험 프로그램

일시: 9/21(토) 10:30~13:30
장소: 삼각산 화계사 (서울특별시 강북구 화계사길 117)
일정: OT 및 도량 안내 / 점심공양 / 숲길 산책 / 명상 / 차담
참가비: 불교철학 9월 강의 수강 시 3만원, 미수강 시 5만원

★ 참가 예정일 3일 전까지 취소 시 100% 환불, 이후 환불 불가 (단, 기후변화 및 천재지변으로 이동 및 이용이 불가한 경우 100% 환불)

★ 사찰 내에선 음주, 흡연 및 고성방가를 삼가하여 주십시오. (사찰에서 음주, 흡연 발견시 퇴소될수 있습니다.-환불 되지않습니다)

★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사찰 밖으로 나갈수 없습니다. (급한 용무가 있어서 사찰밖을 벗어날때는 사전 협의하에 가능합니다.)

http://www.hwagyes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