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데미소요:정치철학 고전 읽기Ⅱ 12월 강의

12월의 책 : 『계몽의 변증법』 아도르노, 호르크하이머

  • 강사 : 한상원 충북대학교 철학과 교수
  • 일시 : 12월 12일, 19일 (화) 19:30~21:30
  • 장소 : 철학서점 소요서가/ZOOM
  • 등록 : 아래 신청하기 버튼
  • 문의 : soyoseoga@gmail.com

강의료는 2회 6만원이며, 회당 개별 신청은 불가합니다.
강의 종료 후 한 달간 반복 시청이 가능한 녹화링크를 보내드립니다.당일 대면/비대면 참석이 어려우신 분들도 자유롭게 시청 가능합니다.

강사소개

한상원 충북대학교 철학과교수
서울시립대학교 철학과에서 마르크스의 물신주의와 이데올로기 개념 연구로 석사 학위를, 독일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에서 아도르노의 정치철학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앙겔루스 노부스의 시선: 아우구스티누스, 맑스, 벤야민. 역사철학과 세속화에 관한 성찰』, 『계몽의 변증법 함께 읽기』가 있으며, 역서로 『공동체의 이론들』(공역), 『아도르노, 사유의 모티브들』, 『역사와 자유의식: 헤겔과 맑스의 자유의 변증법』이 있다. 『현대 정치철학의 네 가지 흐름』,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아도르노와의 만남』, 『왜 지금 다시 마르크스인가』, 『팬데믹 이후의 시민권을 상상하다』 등 여러 책을 공저했다. 현대사회 · 정치철학의 여러 주제들을 연구하고 있다.

강의소개

『계몽의 변증법』은 1940년대, 전체주의의 폐해가 극에 달한 상황에서 피해 당사자이기도 한 두 유대인 지식인들이 발행한 최초의 철학적인 전체주의 분석이다. 그런데 왜 ‘철학적인’ 분석일까? 전체주에 대해서 정치경제학적인 분석도 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접근 방법이 있겠지만, 두 저자는 ‘계몽과 계몽이 대변하려고 했던 근대적 이성이 어째서 실패했는가’를 규명하면서 전체주의 분석을 이성 비판과 연결하는 철학적 작업을 수행했다.

이 작품은 1940년대에 쓰여졌지만, 21세기에 이 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혜안 중 하나는 ‘혐오’를 이해하는 방식이다. 다양한 파국적인 상황에 접한 인간이 공포에 직면했을 때 그 공포를 반드시 특정 대상에게 투사하는 방식으로 나타내는 것이 혐오의 메커니즘이다. 제노포비아를 비롯한 현대사회의 다양한 혐오 현상 역시 이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그렇다면 계몽은 무엇을 추구했고, 왜 여전히 다른 결과로 나타날까? 본 강의는 이 물음을 따라 서양의 한 시대를 이해하는 것을 넘어 오늘의 우리를 성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보고자 한다.

강의일정
1강 12월 12일 (화) 19:30~21:30
2강 12월 19일 (화) 19:30~21:30

아카데미소요 ‘서양미술사ABC 시즌3.’ 12월 강의

강사
이연식 미술사가

일시
1강. 12월 2일(토) 15~17시
2강. 12월 16일(토) 15~17시
관람. 12월 7일(목) 15시

장소 : 철학서점 소요서가/ZOOM (대면/비대면 동시진행)
등록 : 하단 신청하기 버튼
문의: soyoseoga@gmail.com

강의료는 월 6만원이며, 전시 관람일정을 제외하시면 5만원입니다.
강의 후 한 달 동안 시청하실 수 있는 녹화링크를 보내드립니다.
당일 대면/비대면 참석이 어려우신 분들도 자유롭게 시청 가능합니다.

취소/환불 신청은 강의 시작 전까지 가능하며, 결제하신 강의가 시작한 이후로는 취소/환불이 불가합니다.

★전시관람 일정★

함께 관람할 전시는 추후 정할 예정이며, 유료 관람인 경우 입장권은 개별부담입니다. 관람 후 티타임이 있을 경우 음료는 소요서가에서 제공합니다.

원활한 진행을 위해 강의 대면참석과 관람은 참여인원을 제한합니다.

시즌 3. 전체일정

12월
1강 북유럽과 남유럽, 예술가들의 여행
2강 스페인의 화가들

1월
3강 오스트리아의 미술
4강 러시아 미술의 사실주의와 정신주의

2월
5강 미국 미술의 서정
6강 오리엔탈리즘과 동서 미술의 절충

3월
7강 서양 바깥 미술의 역습과 자립
8강 에콜 드 파리(파리의 외국인들)

월 1회 전시관람 일정이 추가됩니다.


  • 강사소개

이연식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서 서양화를 전공하고,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 과정에서 미술이론을 공부했다. 2011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미술이론과에서 강사로 활동했으며, 현재 미술사를 다각도로 살펴보며 예술의 정형성과 고정관념에 도전하는 다양한 저술, 번역, 강연 활동을 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이연식의 서양 미술사 산책』, 『유혹하는 그림, 우키요에』, 『멜랑콜리』, 『뒷모습』, 『드가』, 『죽음을 그리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서양 미술사』, 『에드워드 호퍼의 시선』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무서운 그림』, 『예술가는 왜 책을 사랑하는가?』, 『컬러 오브 아트』, 『뱅크시:벽 뒤의 남자』, 『자포니슴』 등이 있다.

아카데미소요:이름없는 미술사 11월 강의

강 사: 정영목 
일 시: 11월 16일, 30일 목요일 19:30~21:30
수강료: 월 6만 원
장 소: 철학서점 소요서가/ZOOM

*월 2회 진행되며, 매달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대면/비대면 동시 진행합니다. 수업 종료 후 한 달 동안 시청 가능한 녹화링크를 보내드립니다.

강의 전체 일정(현장 상황에 맞추어 일부 주제가 변경되었습니다.)

5월
1강. 재현이란 무엇인가
2강. 모더니즘

6월
3강. 니체와 독일 표현주의 회화
4강. Transplanting European Art into America

7월
5강. 앵포르멜
6강. 1960년대 미국미술

8월
7강. 대지미술
8강. 미니멀리즘

9월
9강. Arte Povera
10강. 독일 현대미술1

10월
11강. 독일 현대미술2
12강. 모노하, 구타이

11월
13강. Pictures generation
14강. 한국 현대미술

강사 소개

정영목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명예교수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에서 미술사학을 전공하고 일리노이대학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교수, 서울대학교 미술관장, 서울대학교 조형연구소 소장, 서양미술사학회, 한국미술이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아카데미소요:정치철학 고전 읽기 10월 강의


정치철학 고전읽기 복습편
‘고대와 근대를 지나 현대로’

  • 강사 : 이충진 한성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 일시 : 10월 17일 (화) 19:30~21:30
  • 장소 : 철학서점 소요서가/ZOOM
  • 등록 : 아래 신청하기 버튼
  • 문의 : soyoseoga@gmail.com

강의료는 2만원이며, 정치철학 이전 강의를 수강하신 분은 1만원 입니다.
강의는 대면/비대면 동시 진행됩니다.
강의 종료 후 한 달간 반복 시청이 가능한 녹화링크를 보내드립니다.

당일 대면/비대면 참석이 어려우신 분들도 자유롭게 시청 가능합니다.

강사소개

이충진 한성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성균관 대학교에서 헤겔철학을 공부한 후 독일 마부르크 대학교에서 칸트 실천철학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근대 서양의 사회철학-법철학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칸트 법철학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일반인을 위한 철학책을 몇 권 출간하기도 했다. 아카데미소요에서 <칸트의 정치철학>을 강의한 바 있다. 현재 한성대학교에서 교양과목을 강의하고 있으며 몇 년 전 한국칸트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강의소개

크세노폰의 작품 <키로페디>에는 이런 일화가 나온다. 큰 소년은 작은 옷을 입고 있었고 작은 소년은 큰 옷을 입고 있었다. 어느 날 큰 소년이 작은 소년의 옷을 벗겨서 자기가 입고, 자신의 옷은 작은 소년에게 주었다. 이를 알게 된 키루스 왕자는 잘된 일이라고 판단했는데, 각자가 맞는 옷을 가지는 게 모두에게 좋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키루스의 스승은 그의 판단이 잘못되었다며 나무랐다.

이 일화는 근대 이론가의 주목을 끌었다. 사안을 보는 키루스의 시각과 스승의 시각이 고대와 근대를 각각 대변하고 있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즉 이론가들은 이 일화에서 고대 정치철학과 근대 정치철학의 차이를 보았다. 그 차이는 물론 근대의 정치 현실이 고대와 다르기 때문에 등장한 것이다. 오늘의 이론가들은 이런 차이를 ‘자연법에서 자연권으로의 전환’이라고 표현한다.

그렇다면 ‘지금 여기’의 정치 현실은 근대와는 본질적으로 다른 것일까? 다시 말해, 근대 정치철학과 본질적으로 구분되는 현대 정치철학이란 것이 존재할까? 만일 존재한다면 현대 정치철학자는 키루스의 일화에 대해 또 다른 대답을 내놓을 것이다. 그것이 무엇인지, 과연 그런 것이 존재하는지 등은 물론 현대라는 시대가 모두 지난 후에야 알 수 있다.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현대 정치철학에 대한 개괄과 약간의 예상 정도이다.

이 강의는 서양 정치철학을 시대별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고대/근대/현대 정치철학의 특징을 간단히 소개한 후 질의응답을 통해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는 시간을 가질 것이다. 아카데미소요에서 기획-운영한 <정치철학 고전 읽기>를 수강한 사람에게는 간단한 복습의 기회를, 미래의 수강생에게는 효과적인 예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이 강의의 목표이다. 수강생에게 요구되는 것은 사전 지식이 아니라 약간의 호기심과 크게 열린 마음이다.

<강의일정>
10월 17일 (화) 19:30~21:30

아카데미소요:이름없는 미술사 10월 강의

강 사: 정영목 
일 시: 10월 19일, 26일 목요일 19:30~21:30
수강료: 월 6만 원
장 소: 철학서점 소요서가/ZOOM

*월 2회 진행되며, 매달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대면/비대면 동시 진행합니다. 수업 종료 후 한 달 동안 시청 가능한 녹화링크를 보내드립니다.

강의 소개

곰브리치의 『서양미술사』 서문은 인상적인 첫 문장으로 시작한다. “미술(Art)이라는 것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미술가들이 있을 뿐이다.” 하지만 같은 글에서 곰브리치는 모든 미술사 연구자들이 ‘인명의 나열로 얼룩지지 않는 미술사’를 염원한다고도 썼다.

미술의 역사를 연구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작품을 살펴야 하고, 그 작품들을 만든 예술가의 이름을 나열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쉽다. 요컨대 예술가의 개성과 기질, 일화는 미술의 역사를 이해하는 결정적인 통로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미술사가 학문적으로 정립되는 과정에서 등장한 것이 ‘이름(인명) 없는 미술사’이다.

이는 예술가의 산발적인 개성과 일화를 쫓아가며 미술사를 이러한 이야기로 파악하고 채우려는 경향에 반대하여, 미술사는 미술작품의 형식적 시각의 역사이며, 예술품을 보는 눈 또한 내재적으로 발달한다고 보는 입장이다. 구체적으로는 미술사의 확고한 이론적 틀을 마련한 하인리히 뵐플린(Heinrich Wölfflin, 1864-1945)이 르네상스 미술과 바로크 미술을 고찰의 대상으로 삼으며 내세운 방법론이다.

‘이름 없는 미술사’는 이처럼 미술사를 (예술가들의)이름이 아니라 (내재적)양식, 형식의 전개와 발전으로서 파악하며, 미술사라는 학문의 방법론이 정립된 과정을 살펴보기 위한 강의이다.

강의 전체 일정

5월
1강. 재현이란 무엇인가
2강. 모더니즘

6월
3강. 니체와 독일 표현주의 회화
4강. Transplanting European Art into America

7월
5강. 앵포르멜
6강. 1960년대 미국미술

8월
7강. 대지미술
8강. 미니멀리즘

9월
9강. Arte Povera
10강. 독일현대미술

10월
11강. 모노하, 구타이
12강. Pictures generation

11월
13강. 한국현대미술1
14강. 한국현대미술2

강사 소개

정영목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명예교수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에서 미술사학을 전공하고 일리노이대학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교수, 서울대학교 미술관장, 서울대학교 조형연구소 소장, 서양미술사학회, 한국미술이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